반응형

산업분석 42

Queen never cry (K-밈)

기자매라는 네이버 웹툰에서 나온장면인데 3일만에 글로벌 밈이 됨 https://www.youtube.com/shorts/D7Fn4Uj06go ​요즘 삐끼삐끼 댄스도 그렇고 한국에서 만들어지는 밈들이 잘팔리는 느낌​왜 잘팔릴까를 생각해보면 '한국사람이 갑자기 글로벌한 감성이 생겼다'는 아닌것 같고 아래같은 이유가 아닐까?​1. K-Culture 덕분에 한국을 힙한 나라라고 생각한다.2. 유튜브, 틱톡, 웹툰 같은 플랫폼이 글로벌화 되면서 국가간 접점이 많아졌다.3. 한국은 인터넷강국이라 밈 제작실력이 초격차다.​한국적인것은 아니니 K-Culture는 아니고 'K-밈'라고 해야할듯 함​밈이 나온 기자매 34화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823285&no..

디앤씨미디어, 나혼렙으로 돈벌어서 확장중

1Q24부터 나혼렙 IP확장, 기타 IP굿즈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턴어라운드에 성공  분기별로 기본빵으로 해주는 웹툰 수익 외 큰덩어리는 개략적으로 아래와 같음1분기는 나혼렙 웹툰 정산수익2분기는 나혼렙 게임 + 이세계 아이돌 굿즈(외부IP 굿즈제작)3분기는 나혼렙 게임 + 나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 정산 매출이 늘어나면서 레버리지 효과로 영업이익율도 같이 늘었고 특히 이번분기는 전분기 대비 매출이 줄었는데도 영업이익이 늘어났음.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 정산이 특히 마진이 좋은듯함  회사의 가장 큰 무형자산인 나혼렙 팬덤이 많이 늘어남팬덤은 IP산업에서 흥행에 대한 기초체력임한국, 일본에서는 흥행지표가 잘 안보이나 영미권에서는 IP가 더 확장되는 지표들이 보임 대표적으로 레딧 나혼자만 레벨업 구독..

산업분석 2024.11.24

CJ, K-Culture 그 자체

아픈 손가락도 있지만 문화산업이라는 컨셉으로 꾸준히 가고있는 CJ 이번에 사업구조정 하는것을 보면 다각화 되어있는 사업들을 K-Culture로 집중시키고있음  제일제당은 바이오사업부를 사업부 매각한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매각 자금으로 미국에 식품공장을 짓기로 결정한듯 함. 8천억을 투자해 헝가리와 미국에 식품공장을 짓기로 했는데 유럽에 생산공장을 짓는건 이번이 처음임26년부터 비비고만두를 만든다고 함 해외로 나가는 기업들은 살아남겠지만 국내에 큰 설비투자가 줄어들어 내수경기는 물론이고 장비회사들은 특히 더 힘들듯 https://www.segye.com/newsView/20241118516352?OutUrl=naverhttps://www.yna.co.kr/view/AKR20241121023600030?in..

각종 AI 서비스 근황

영상AIAI로 처음부터 끝까지 만든 영상은 아직 부족해보임있는영상을 실사화나 애니화로 바꿔주는것 처럼 기존 작업물이 있어 할일이 적은(?)부분에서는 쓸만해보임일부 AI가 잘하는 영역에서는 이미 대체중  AI로 제작한 코카콜라 광고영상 - 짧은 1~5초짜리 영상은 잘 만드니 인물이나 동물같이 디테일한 장면이 없는 광고는 AI로 제작 https://www.youtube.com/watch?v=4RSTupbfGog   참고한 옛날 광고https://www.youtube.com/watch?v=JHIxyGgSU90&t=15s   이 영상은 약간 불쾌한 골짜기..https://www.youtube.com/watch?v=4bQeVIGx86Y&t=39s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바꿔주는 AIhttps:/..

반도체, 이제 CAPEX가 답인가?

올해 5월에 있었던 최태원 회장 기자간담회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5014100003?section=economy&site=popularnews_view 최태원 "반도체 롤러코스터 계속될것…얼마나 더 투자할지 숙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반도체 롤러코스터는 앞으로 계속될 것"이라며 "앞으로 자본적지...www.yna.co.kr 최 회장은 작년 7월 기자간담회에서도 반도체 업황에 대해 "업다운 사이클이 빨라질 뿐 아니라 진폭 자체가 커지는 문제점에 봉착하고 있다"며 "그래서 널뛰기가 훨씬 심해지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최 회장은 "반도체 미세화가 상당히 어려워졌기 때문에 ..

산업분석 2024.11.12

컨콜에서 느껴지는 AI의 존재감

이번분기 컨콜에서 AI가 더 자주 언급되고 있음전분기만 해도 AI관련 투자를 집행하는지가 이슈였는데 3분기에는 구체화된 서비스, 출시 시기가 언급되고 있음 (검색AI Perplexity에 찾아달라고 요청했더니 깔끔하게 잘 해줌) 아직은 IT기업만 열심히 어필하고 있는데, 1~2년 후에는 IT기업외에도 AI를 빠르게 적응한 회사와 느린 회사 간의 격차가 커질것 같음. 데이터 분석, 고객 맞춤형 서비스, 일반사무 등 쓸곳이 많음.AI 도입이 더딘 회사들은 효율성이 떨어질것임 "기술발전이 테크회사에만 적용되지 않는다"의 대표적인 사례로 슈퍼마켓이 있음 슈퍼마켓에 컴퓨터가 처음 도입되면서 바코드 시스템이 정착됐고, 재고 관리와 계산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며 생산성이 높아졌음. 이를 도입한 기업들은 빠르게 변화..

한국 AI서비스 뤼튼 MAU500만 달성

https://www.segye.com/newsView/20241031515798?OutUrl=naver 국내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빠른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서비스 시작 후 불과 1년 10개월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가 500만 명을 돌파했음.  이 성과는 토스와 당근 등 기존의 인기 앱보다 빠른 속도토스(3년 3개월)와 당근(약 2년) 9월에 마케팅을 한것인지 앱순위가 많이 올랐다가 조금 씩 빠지는중임 챗GPT같은 일반 채팅, 캐릭터챗, 유튜브 요약, AI탐지 방어 등등 서비스가 있음 사용자 반응을 보면 서비스 중에 역시 캐릭터챗이 인기가 제일 많음 다양한 서비스  실제로 플레이해본 좀비 아포칼립스 저번에 포스팅했던 로판AI 서비스부터 느꼈지만 AI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장 먼저 ..

기후변화로 단풍구경도 지연

24년 단풍시기​이번주 주말이 중부지방 단풍절정시기오늘 단풍구경으로 내장산 인근으로 놀러감​  ​아직도 파~~란 나뭇잎들, 열심히 뒤져야 단풍 든 나무를 찾을 수 있음이번 추석때도 덥다고 난리였고 체감상 날씨 선선해지는게 평년대비2주정도 늦어진 느낌이었는데 단풍도 이 영향으로 1~2주 늦어지는듯함​기후 정상화는 탄소배출 감량으로는 한참 걸릴것 같고 탄소포집같은 기술발전이 되어야 바로 바뀔 수 있을것같은데... 언제쯤 가능할까 ㅎㅎㅎ​

레딧, 상장 후 첫 분기 흑자

영어판 디시인사이드 레딧 3Q24 매출 QOQ +24% 달성  미국 외 매출도 꾸준히 상승중 시간외 30% 상승으로 시가총액은 1.13B에서 1.4B까지 증가아직 순익이 들쭉날쭉해서그런지 PSR 1.0기준으로 움직이는듯함트래픽은 꾸준히 상승중  대부분 모든 국가에서 트래픽 상승중일본, 독일, 브라질 같은 비영어권 국가에서도 트래픽 증가순서대로 브라질, 독일, 영국, 일본 정직한 트래픽과 정직한 매출과 정직한 주가 트래픽 오르는거 보고있었는데 글쓰고나서 조금이라도 살걸...

산업분석 2024.10.30

경쟁이 시작된 AI서비스 시장

근 몇달 AI서비스가 미친듯이 공개 + 업그레이드 되고있음 많은 텍스트, 그림, 영상 기타 등등 서비스가 각 영역에서 열일중임    AI서비스 조회사이트https://www.aixploria.com/en/ultimate-list-ai/  최근 범용작업 서비스 점유율을 보면 챗GPT, Gemini 점유율을 Perlexity와 Claude가 뺏어가고있음    위기의식을 느꼈는지 근 몇달 챗GPT는 다른 서비스에서 차별화로 내세운 'Cavas'나 평소 부족하다고 지적된 '논리적인 기능'을 추가함서비스도 많아지고 이제 본격적으로 경쟁이 시작되는 분위기임 이것저것 사용해보면 유용한 서비스가 많고 상품성이 있는건 알겠는데 걱정이 되는건 '투자금에 맞는 매출이 가능하냐?'임 현재 오픈 AI매출의 75%는 개인 구독에..

반응형